[이투스] 2026학년도 3월 학력진단평가 분석
1. 전반적인 난이도 분석
2026학년도 3월 학력평가(학평)의 난이도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인 체감과 객관적인 출제 난이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출제 난이도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하지만, 실제로 시험을 본 학생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시험을 치른 후 가장 중요한 것은 시험 자체보다 그 이후의 복기와 분석입니다. 오늘 시험을 본 학생들은 시험을 마친 후 반드시 자신의 시험 결과를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다음 시험을 위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국어 영역 분석
(1) 등급 컷 및 점수 분포
국어 영역의 1등급 컷은 129점, 2등급은 122점, 3등급은 113점으로 예상됩니다. 국어 시험에서는 화법과 장문(화작)과 언어와 매체(언매)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두 시험 간 최고점이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화법과 장문 선택 시 만점: 147점
- 언어와 매체 선택 시 만점: 150점
(2) 선택과목별 원점수 차이
1등급 컷인 129점을 기준으로 보면,
- 화법과 장문: 원점수 80~81점
- 언어와 매체: 원점수 77~78점
이는 동일한 표준점수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원점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공통과목에서의 득점이 표준점수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택과목보다 공통과목에서의 안정적인 점수 확보가 중요합니다.
(3) 문제 난이도 및 특징
이번 시험에서 학생들이 가장 어려움을 겪은 문제로는 독서 영역에서 출제된 ‘쉔베르크와 후설’ 관련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문제는 개념적으로 복잡하고 지문이 길어, 학생들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금융 관련 지문과 혈압 관련 과학 지문 역시 독해 난이도가 높은 편이었습니다.
3. 수학 영역 분석
(1) 등급 컷 및 점수 분포
수학 영역의 1등급 컷은 134점, 2등급은 125점으로 예상됩니다. 선택과목별 최고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적분: 최고점 134점
- 기하: 최고점 132점
- 확률과 통계(확통): 최고점 131점
미적분과 확통의 최고점 차이는 약 3점으로, 이는 4점짜리 한 문제 차이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2) 선택과목별 원점수 차이
미적분 기준으로 1등급 컷(134점) 내 원점수를 보면,
- 미적분: 75~76점
- 확률과 통계: 74~75점
이와 같이 동일한 표준점수라도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에서의 정답 개수에 따라 원점수가 다르게 형성됩니다. 공통과목(수학Ⅰ, 수학Ⅱ)에서의 득점이 높은 경우 표준점수가 더 유리하게 형성됩니다.
(3) 문제 난이도 및 특징
이번 수학 시험에서는 기존의 문제 출제 패턴이 변화하여 학생들에게 혼란을 주었습니다. 특히 14번, 15번, 21번, 22번 문제의 출제 범위가 이전 기출과 다르게 구성되었으며, 22번 문제에서 수열이 출제되지 않은 점이 눈에 띕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시험 도중 당황한 학생들이 많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영어 영역 분석
(1) 등급 컷 및 점수 분포
영어 영역의 1등급 컷은 90점 내외로 예상되며, 전년도보다 다소 쉬운 난이도로 평가됩니다. 2등급 컷은 80점, 3등급 컷은 70점으로 예상됩니다.
(2) 문제 난이도 및 특징
이번 영어 시험에서는 빈칸 추론 문제가 평소보다 난이도가 낮았으나, 순서 배열 문제가 상대적으로 어려웠습니다. 또한 고난도 어휘가 포함된 문제들이 일부 있어 상위권 학생들에게 변별력을 제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5. 학습 전략 및 대비 방법
이번 3월 학평은 수능을 대비하는 첫 번째 전국 단위 시험으로, 단순한 점수 확인을 넘어 시험의 문제 유형과 자신의 취약점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국어 대비 전략
- 공통과목(독서, 문학5. 학습 전략 및 대비 방법(1) 국어 대비 전략
- 공통과목(독서, 문학)의 배점이 크므로 안정적인 점수 확보가 중요
- 선택과목(화작, 언매)에서의 점수 차이를 고려하여 전략적인 선택 필요
- 어려운 지문이 나왔을 때 당황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 필요
- 공통과목(수학Ⅰ, 수학Ⅱ)의 점수가 표준점수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집중 학습
- 선택과목의 출제 패턴 변화를 인지하고 다양한 문제 유형을 연습
- 실전에서 문제 풀이 순서를 전략적으로 조정하여 시간 관리 연습
- 빈칸 추론, 순서 배열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습하여 변별력 강화
- 듣기 문제에서 실수를 줄이기 위한 꾸준한 훈련 필요
- 어휘력을 강화하여 독해 문제에서 시간을 단축하는 연습
- 어려운 문제를 만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연습 필요
- 전년도 기출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패턴 변화에 적응
- 실전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모의고사를 꾸준히 응시
6. 결론
- 2026학년도 3월 학평은 학생들에게 쉽지 않은 시험이었으며, 특히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과목과 공통과목의 점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또한 영어 영역에서도 일부 변별력을 가진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 시험을 통해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향후 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학평을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남은 기간 동안 체계적인 학습을 진행한다면, 6월 모의평가와 수능에서 더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고3 SK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격자 사례로 본 2026학년도 이과 입시안 분석 (0) | 2025.03.25 |
---|---|
진또배기, 유대종의 인강 소개 및 커리큘럼 (0) | 2025.03.24 |
진또배기, 유대종의 현강 시간표와 강의 안내 (0) | 2025.03.23 |
일취월장, 김동욱의 인강 소개 및 커리큘럼 (0) | 2025.03.02 |
일취월장, 김동욱의 현강 시간표와 강의 안내 (0) | 2025.03.02 |